중력렌즈 (3) 썸네일형 리스트형 빛을 내지 않는 은하, 다크 갤럭시: 암흑물질로만 이루어진 우주의 유령 빛을 내지 않는 은하, 다크 갤럭시: 암흑물질로만 이루어진 우주의 유령목차 서론 – 보이지 않는 우주의 그림자 다크 갤럭시의 정의와 특징 발견의 역사 암흑물질과 다크 갤럭시 관측 방법과 기술 대표적 관측 사례 형성과 진화 과정 천문학적·우주론적 의의 미래 연구 방향 연대표서론 – 보이지 않는 우주의 그림자우리가 밤하늘에서 바라보는 은하는 수많은 별과 가스로 이루어져 있어 눈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우주에는 빛을 거의 내지 않는, 혹은 전혀 내지 않는 은하도 존재한다. 이런 은하는 ‘다크 갤럭시(Dark Galaxy)’라 불리며, 사실상 암흑물질로만 이루어진 거대한 구조물일 가능성이 크다.다크 갤럭시는 우리 눈에 보이지 않지만, 중력적인 효과를 통해 그 존재를 드러낸다. 별이 거의 없기.. 암흑물질의 존재를 증명하는 우주의 흔적들 암흑물질의 존재를 증명하는 우주의 흔적들 암흑물질(dark matter)은 오늘날 천문학과 우주과학에서 가장 큰 미스터리 중 하나입니다. 우주는 우리가 직접 볼 수 있는 별, 행성, 가스, 먼지 등으로만 이루어진 것이 아닙니다. 전체 질량의 약 85%는 눈에 보이지 않고, 빛도 내지 않는 암흑물질이 차지하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습니다.그런데 우리는 이 암흑물질을 어떻게 ‘존재한다’고 말할 수 있을까요? 천문학자들은 오랜 관측과 연구를 통해 암흑물질의 존재를 뒷받침하는 우주의 여러 흔적을 찾아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은하 회전 곡선, 중력렌즈,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 등 실제 관측 사례를 중심으로, 암흑물질이 정말로 있다는 과학적 증거들을 자세히 소개합니다. 은하 회전 곡선: 우리가 보는 질량만으로 설명할 수.. 중력렌즈와 우주 망원경의 혁명: 보이지 않던 우주가 눈앞에 중력렌즈 현상과 우주 망원경의 발전이 만나면서, 인류는 이제 상상조차 할 수 없던 먼 우주와 블랙홀까지 직접 관측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일반상대성이론의 예측과 실제 천문학의 혁명을 한 번에 살펴봅니다.중력렌즈, 아인슈타인의 예측에서 현실로중력렌즈는 우주를 바라보는 방법에 있어 획기적인 전환점이 된 현상입니다. 중력렌즈란 아주 거대한 천체, 예를 들어 은하단이나 블랙홀처럼 엄청난 질량을 가진 천체가 배경에 있는 빛을 휘게 만들어 마치 돋보기처럼 멀리 있는 천체의 모습을 여러 배로 확대해서 보여주는 효과를 말합니다. 이 현상은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이론에 의해 처음 예측되었습니다.아인슈타인은 중력이 시공간 자체를 휘게 만든다고 설명했는데, 이론이 발표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실제로 별빛이 태양 근처를 지.. 이전 1 다음